본문 바로가기
지역생활정보

청년 월세 지원 vs 주거급여 – 2025년 신청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차이점

by 씨티보리 2025. 4. 11.

청년 월세 지원 vs 주거급여, 뭐가 다를까?

조건은 비슷한데 결과는 완전 다릅니다 (2025년 완전 정리)

 

 

“나 월세 지원 받는 줄 알았는데, 떨어졌어요”

알고 보니 주거급여랑 헷갈렸던 거였습니다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청년이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월세를 지원하는 제도를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많이 헷갈리는 대표적인 두 가지가 바로,

  • 청년 월세 지원 (국토부 + 지방자치단체 시행)
  • 주거급여 (기초생활보장제도 중 하나)

입니다.

 

이 둘은 신청하는 대상도 비슷하고, ‘월세를 지원한다’는 점도 같아 보이지만, 지원 기준, 대상 조건, 지급 방식은 완전히 다릅니다.

2025년 기준으로 두 제도의 차이점, 중복 가능 여부, 어떤 걸 먼저 신청해야 하는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요약 먼저! 한눈에 보는 핵심 차이 (표 비교)

항목 청년 월세 지원 주거급여
주관 국토부 + 지자체 보건복지부 (기초생활보장제도)
대상 만 19~34세 단독 청년 전체 가구 (소득·재산 기준 충족 시)
소득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청년 본인 기준) 중위소득 47% 이하 (가구 기준)
재산기준 1억 7천만 원 이하 2억 1천만 원 이하 (2025년 기준)
지원금액 월 최대 20만 원 (1년 한시) 지역·가구·임차료 따라 차등 지급 (매월 계속)
지원방식 계좌 입금 (현금) 계좌 입금 (현금)
중복 신청 불가능 불가능
신청처 복지로, 주민센터, 정부24 복지로, 주민센터

 

 

청년 월세 지원이란?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비 지원 제도로,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각 지자체가 시행합니다.
2025년에도 계속 진행 중이며, 만 19~34세 사이의 단독 세대 청년이 대상입니다.

주요 조건

  • 본인이 단독세대주 또는 주민등록상 별도 세대
  • 중위소득 60% 이하 (2025년 기준 월 소득 약 123만 원 이하)
  •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 부모와 주소지 분리 필수 (원가구와 분리)

1회 신청 → 최대 12개월간 월 20만 원 지원

 

 

주거급여란?

기초생활보장제도 중 하나로,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가구에 실제 지출 중인 임대료를 기준으로 차등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주요 조건

  • 전체 가구 구성원 기준 (세대주, 배우자, 자녀 포함)
  • 중위소득 47% 이하 (2025년 기준 4인 가구 약 270만 원 이하)
  • 실제 지출하는 월세 수준에 따라 지원금액 책정
  • 거주지와 가구 규모에 따라 금액 다름

지속적 지원 가능 (단, 매년 갱신 필요)

 

 

어떤 경우에 청년 월세 지원을 선택해야 할까?

“나는 1인 가구고, 부모님과 주소도 분리돼 있어요.
월세 35만 원, 보증금 1,000만 원짜리 원룸에 살고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청년 월세 지원을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부모님의 소득이 높아 주거급여는 탈락할 수 있지만
  • 청년 월세 지원은 본인 기준 소득으로만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경우에 주거급여를 신청해야 할까?

“부모님, 형제와 함께 살고 있는 4인 가구예요.
소득은 낮지만 청년 단독세대는 아닙니다.”

이 경우엔 청년 월세 지원이 아니라 ‘주거급여’ 대상이 됩니다.
주거급여는 전체 가구 기준 소득으로 판단하므로, 청년이 세대주가 아닌 경우에도 수급 가능성이 있음

 

 

청년 월세 지원 vs 주거급여, 중복 신청 가능한가?

절대 불가능합니다.

두 제도는 ‘비슷한 성격의 현금성 주거비 지원’으로, 하나라도 받고 있으면 다른 하나는 자동 제외됩니다.

→ 특히 청년 월세 지원 신청할 때 ‘주거급여 수급자’ 여부를 시스템에서 자동 확인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정리)

청년 월세 지원, 재신청 가능한가요?

1년 한시 지원이기 때문에 1회 수혜 후 재신청 불가입니다.

부모님과 주소는 같은데, 따로 살아도 청년 월세 지원 되나요?

주소지가 분리되어 있어야 신청 가능합니다.
동일 주소지인 경우 대상 제외됩니다.

주거급여 수급자도 보증금·전세금 지원이 되나요?

일부 지자체는 주거급여 수급자에게 전세자금대출 이자 지원 등 별도 혜택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자체 확인 필요)

주거급여는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

소득 조건만 계속 충족되면 매년 재신청으로 계속 수급 가능

 

 

실제 청년 사례 비교

“회사 첫 월급이 180만 원인데, 부모님이 고소득이라 주거급여는 안 됐어요.
청년 월세 지원은 내 소득만 보기 때문에 받아서 진짜 도움됐습니다.”
– 서울 동작구 거주 29세 직장인

“저희 집은 전체 소득이 낮아서 주거급여 신청했는데
월세 45만 원 중 35만 원 정도 매달 지원받고 있어요.”
– 부산 동래구 4인 가족


신청 팁

  • 2025년 청년 월세 지원 사업 공고문은 5월에 게시될 예정이다.
  • 주거급여는 연중 수시 신청 가능, 기초수급 신청자 자동 연동

두 제도 모두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정부24, 동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

 

 

청년 월세 지원 vs 주거급여 – 2025년 신청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차이점
서울 주거 포탈 청년 지원 사업

 

 

‘내가 해당되는 줄 몰랐다’는 말이 가장 아깝습니다

월세는 매달 나가는 돈이지만,지원금은 내가 챙겨야만 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

청년 월세 지원과 주거급여는 서로 겹치지만 완전히 다른 기준을 가지고 운영되는 제도입니다.

  • 본인 기준이면 청년 월세 지원
  • 가구 전체 기준이면 주거급여
  • 중복은 절대 불가
  • 한 번 놓치면 신청 기회도 끝날 수 있음

2025년, 월세를 내고 있다면 지금 바로 내 상황에 맞는 지원금이 뭔지 확인해보세요.
정보를 아는 사람이 결국 돈을 아끼는 시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