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100만 원부터 셋째 이상 500만 원까지! 놓치면 손해입니다
“둘째 낳았는데, 300만 원 받았어요!”
안산시 출산가정에 실질적인 현금 지원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출산하면 200만 원 주는 첫만남이용권은 전국 공통이라 다들 잘 아는 편이지만, 각 지자체가 따로 지급하는 ‘출산축하금’은 의외로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안산시는 2025년 기준,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금액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있어요.
자녀 순위 | 지원금 | 지급 방식 |
첫째 | 100만 원 | 현금 계좌이체 |
둘째 | 300만 원 | 현금 계좌이체 |
셋째 이상 | 500만 원 | 현금 계좌이체 |
현금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지역화폐처럼 사용처 제한이 없고, 산후조리비, 의료비, 육아용품 등 필요한 곳에 자유롭게 쓸 수 있어요.
이런 분들, 받을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신청 조건)
- 자녀가 안산시에서 출생신고 되어 있어야 함
- 부모 중 최소 1명 이상이 안산시에 주민등록 되어 있어야 함
- 출산일 기준으로 1년 6개월 이내 신청해야 함
- 쌍둥이의 경우 출생 순위별로 각각 적용 (예: 첫째·둘째 쌍둥이 → 100만 + 300만 = 총 400만 원!)
다문화가정, 외국인 부모도 가능합니다! 단, 출생아가 대한민국 국적이고, 주민등록등본에 등재되어 있어야 해요.
어디서 신청하나요?
안산시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또는 안산시청 가족정책과 (전화 문의 가능)
신청서류 간단 체크리스트
- 출산축하금 신청서 (주민센터 비치)
- 출생자 포함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보호자 통장 사본 (지급 계좌)
- 신분증
- (해당 시) 외국인등록증 사본, 혼인관계증명서 등
서류만 잘 준비하면 접수는 5~10분이면 끝나요. 지급은 보통 3~4주 이내 이체됩니다.
이런 실수는 주의하세요!
- 출생신고는 했는데 축하금 신청은 안 한 경우 → 자동 지급 아니에요. 반드시 별도 신청 필요!
- 주소지만 안산, 출생신고는 다른 지역 → 둘 다 안산으로 되어 있어야 해요.
- 신청기한(출산 후 1년 6개월)을 넘긴 경우 → 아쉽게도 지급 불가입니다.
- 통장 정보 잘못 제출 or 미기입 → 지급 지연되거나 무효 처리 가능
함께 받을 수 있는 안산시 + 경기도 출산/육아 지원
지원제도 | 금액 | 신청장소 |
첫만남이용권 | 200만 원 | 주민센터 |
아동수당 | 월 10만 원 | 주민센터 |
양육수당 | 월 30만 원 내외 | 주민센터 |
산후조리비 지원 | 최대 50만 원 | 온라인+센터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바우처 | 1회성 | 정부지원 / 건강보험공단 |
위 제도는 중복 수령 가능하니, 출산 후 한 번에 묶어서 신청하는 걸 추천해요!
요약 정리 (캡처 추천)
- 첫째 100만 원 / 둘째 300만 원 / 셋째 이상 500만 원
- 현금 지급 (지정 계좌로 이체)
- 출생신고 + 주민등록 모두 안산시
- 출산일 기준 1년 이내 신청
- 서류만 준비하면 동주민센터에서 간단하게 신청 가능
'지역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안시 출산장려금 2025, 충청권 출산정책의 모범 답안 (0) | 2025.04.09 |
---|---|
2025년 수원시 둘째자녀 이상 출산지원금 총정리 (0) | 2025.04.08 |
고양시 출산장려금, 알고 나면 꽤 괜찮은 혜택 (0) | 2025.04.08 |
성남시 출산장려금, 첫째부터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4.08 |
출산했는데 왜 아무도 돈 준다는 얘기 안 해줘? - 강서구 출산장려금 정리 (0) | 2025.04.07 |